Inbetween times

수성십경 水聲十景
2010
Photography
supported by Seoul Museum of Art

Ten lanscapes of New Suseong-dong

Giographically, Seoul is the center of urban problem since it is surrounded by various sizes of mountains with excellent nature but has the most densely populated co-habitation housings (apartments). This work shows both of them. The apartment in the picture is the first generation apartment in Seoul under the urban organization policy by dismantling old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to provide western-style apartments in 1971. Also, Gyumjae Jeongsun(1676~1759), one of the best painters in Joseon Dynasty, used to have a house in Soosung-dong down the Inwang mountain of Seoul and he represented the landscape near his house in . My art piece name was adopted by his artwork name. Currently, Seoul is trying to represent the westernized urban design. Therefore, this apartment is under dismantling process for a park. This work focused on the inside of specific 10 families out of 291 families under removal. We can often see the picture series recording the absent condition of deserted empty space. However, what intended to deliver aesthetically was to capture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pure nature out of window and artificial nature by men, the latter seen from the interior materials like wallpaper inside when looking outside through the empty space and open window.

물소리가 들리는 10개의 풍경

2009년 9월 부터 이뤄진 작업으로 현 종로구 옥인동 소재의 옥인시민아파트의 9개동 291세대 중 특정한 10세대의 내부를 포착한 것이다. 이 아파트는 1971년 낡은 한옥을 철거하고 서구식 공동주택을 보급하기위한 서울시의 1세대 도시정비정책으로 지어진 아파트이다. 지금은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또 한번 철거중이다. 이 곳은 인왕산 아래 수성동은 조선시대 최고의 화가였던 겸재정선(1676~1759)의 집이 있었던 지역이기도 하며 그는 집 주변풍경을 <수성동도> 을 통해 표현하였다.
버려진 빈 공간의 부재적 상황을 기록한 사진 연작물은 국내외에서 좀 처럼 마주하게 된다. <水聲十景수성십경-In between times>에서 미학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던 것은 건축물 내부의 안 쪽에서 빈 공간과 개방된 창문을 통해 밖을 바라 볼 때 내부의 벽지와 같은 내장재에서 보여지는 인간에 의해 규칙적으로 양식화되어 재현된 자연과 창문 외부의 순수 자연이 중첩된 혼재적 상황을 포착하는 것이 주안점이었다. 이를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써 대형 카메라 렌즈를 통해 동시대적인 기술로써 중첩된 인왕산의 산수를 표현하려 하였다. 결과적으로 60인치가 넘는 대형사진은 생물학적 시각성의 한계를 초월한 섬세한 재현을 통해서 결과물을 회화적이고 초현실적으로 인식시키게 한다. 결론적으로 단순한 기록 차원의 다큐멘터리를 넘어서, 장소에 대한 주관과 주제 의식을 통해 공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발견하려 하였으며 렌즈에 비친 시간의 층위와 그 속에 각인된 과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