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산 上山 over there

장민승 jang minseung 張民承

Sokcho - Chilsung Boatyard 2024. 8. 1. ~ 9. 20.
Seoul - Factory2 2024. 8. 10. ~ 8. 18.
Jeju - viaart 2024. 9. 28. ~ 11. 3.
Gyeonggi - Suraksan Mountain Hut 2024. 10.

글: 최주원

산속의 그늘은 마치 연옥에 갇힌 자가 죄의 고통으로 인해 단테에게 부탁한 절실한 기도가 닿는 곳이다. 그늘은 강한 햇빛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며 어둠을 땅에 새긴다. 위 단테의 『신곡』에 나오는 연옥에 있는 자를 위한 기도는 죽은 영혼을 위한 애도와 추모를 담는데, 이것은 그늘이 주는 안식과 같다. 나무의 지난 모습을 기억하는 그늘은 서늘한 어둠을 마주하며 인간이 끈질긴 간절함으로 기도하는 사원이다. 과거의 국가 폭력에 의해 일어난 일 중 아직 규명되지 않고 애도조차 되지 않은 사건들은 연옥에 갇힌 채 고통으로 그늘져 있다. 장민승은 개인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갖는 작업을 통해 과거를 회고한다. 설악산의 토왕성 폭포, 제주도의 한라산에서 애도를 위한 간절함을 자연에 대한 다큐멘터리적 접근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에 대한 연작으로 이번에는 강원도 고성이라는 이름을 아래로 두며 암산 줄기로 이어진 금강산과 설악산을 오른다. 전시 《상산》은 장민승의 〈오버데어〉(2018), 〈입석부근〉(2016), 〈보이스리스〉(2014)의 프리퀄로, 앞서 말한 대로 그가 왜 산에 오르기 시작했는지 그 배경을 유추할 수 있다. 작업의 시작부터 그가 왜 무성의 영상과 자연의 사진을 제공했는지에 대해 실마리를 제공한다.

2018년 개봉한 〈오버데어〉는 1,000일 동안 한라산의 설산을 오르내리며 제주 전역에서 촬영한 작품이다. 일기예보에서 가장 궂은 날씨를 택하는 장민승 특유의 작업 방식은 거대한 자연의 재난 앞에 선 본인의 안전까지 소망하게 한다. 장민승이 위험을 감수하고 간절히 담아내고 싶은 드라마틱한 장면은 단순히 시각적 연출에 대한 작가의 욕망으로 이야기할 수 없다. 이 이유에 대해 그는 산을 오가며 자연을 담아내는 것은 걷는 행위와 같이 자연스러운 것이며, 산은 그에게 피안의 장소라고 간단히 대답한다. 장민승이 담은 제주 밤바다의 물결, 한라산의 바람과 물안개는 자연히 지나쳐버린 과거를 사유하고 추모하도록 이끈다. 장민승이 구상한 사원에서 관객은 시청각적인 감상을 통해 명상의 순간을 경험한다. 〈오버데어〉의 연작인 대형 사진 작업 〈프롬 오버데어〉는 그 찰나를 기록한 것으로, 지각적 추상을 이끈다.

바다와 관련된 작업 〈the moments 6’ 49”〉(2012), 〈수취인불명〉(2023), 〈over there somewhere everywhere〉(2021)은 자연에 대한 몰입을 통해 관객을 추상적 감상으로 이끈다. 2012년 태풍 볼라벤(Bolaven)으로 인해 풍랑주의보에 발이 묶인 해변에서 표류한 시간이 담긴 〈the moments 6’ 49”〉에서 유일하게 눈에 띄는 것은 마치 곧 쏟아질 듯한 웅장한 파도와 부서진 백색의 미세한 파도 거품이 대비를 이루는 장면이다. 스펙터클한 자연과 더불어 숭고에 대한 몰입이 동반된다. 〈수취인불명〉은 해변의 모래 사이에 박힌 유리알을 근접 촬영한 신작 시리즈로, 물성의 표면이 마모된 결과보다 그 과정에 집중한다. 〈수취인불명〉과 〈over there somewhere everywhere〉은 자연과 시간의 광활한 스펙트럼 사이 작은 인간사에 대한 장민승의 고찰이 담긴 사진 시리즈이다. 작가는 영상과 사진에 자연의 연대기 일부를 담아 사회의 구축된 역사를 은유함으로써 정치적이고 사적인 의미 사이에 무위(無爲)한다.

‘상산’이라는 전시명은 산 위의 산이라는 유토피아처럼, 종교적으로 성스러운 전설의 산을 의미한다. 자연에 대한 장민승의 연구와 이를 담아낸 작품에 기반한 전시 《상산》은 백두에서 한라까지 이어져 온 한반도의 이야기가 단절되며 한라산만 남게 된 남한, 남북으로 끊어진 금강산과 설악산에 대한 전개로 시작된다. 그는 분단 전후 산악 관련 문학과 자연과학에서의 식물 이야기 등을 조사했다. 이야기의 일부는 분단을 경험했던 산악인에 대한 개인 서사 및 관련 서적 등이 아카이브로 전시된다. 연구 과정에서 장민승은 우연히 한라산과 남부 지방 인근에 자라는 상산이라는 식물을 알게 되었다. 상산은 항상 산을 지키는[1] 식물이었다. 사실 상산은 특유의 진한 향기로 오랜 장례 기간 해충으로부터 망자의 부패하는 육체를 지키는 역할을 하며, 망자의 마지막 길에 품위를 지켜주는 식물이다.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자연의 장엄함과 산악인의 죽음이 한 끗 차이로 있다는 것과 늘 죽은 망자를 기억하는 산악문화에 대해 감명받았으니 산 위의 산과 상산의 식물의 이어지는 것은 상수였다. 본 전시 《상산》은 위와 같은 아카이브 실천을 통해 여러 줄기에서 이어진 하나의 서사이며 장민승의 작업에 프리퀄로 확장된다.

《상산》은 한반도 현대사의 역사적 맥락부터 한 개인의 서사가 있는 장소 속초, 서울, 제주, 경기 4곳에서 선보인다. 장민승의 산 프로젝트의 단초가 된 〈상림〉(2014)을 함께했던 갤러리팩토리가 변모한 팩토리2(서울)에서 10년 만에 다시 소개된다. 서울을 비롯해 한국전쟁으로 인해 원산의 조선소에서 내려와 남한에 정착하게 된 칠성조선소(속초), 50년 넘게 제주를 찾은 산악인과 장민승의 〈오버데어〉 베이스캠프였던 대동호텔과 비아아트(제주), 유신 시대에 만들어져 유일하게 남은 돌산장인 수락산장(경기)에서 이어진다. 《상산》은 이데올로기를 초월해 한반도에 발 딛고 사는 모두의 이야기이다. 여러 장소에서 펼쳐지는 이번 전시를 마주하며 이곳들이 각자의 피난처나 사원의 장소가 되길 기도한다. 본 전시는 마치 등산과 같이 그간 걸어온 길과 행적이 남겨지는 수행성 프로젝트와도 같다. 오늘날 누구에게나 보편적 공감을 얻고 시대적 간절함이 하늘에 닿기를 이번 《상산》에 빌어본다.

 

[1] 상산(常山)이라는 식물로 본뜻은 항상 산에 있다는 뜻이지만, 이 식물의 존재를 소개한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의 김병완 학예연구사의 뜻풀이가 본 식물의 의미와 사회적 쓰임이 같다고 생각해 본 프로젝트에는 그렇게 의미를 두기로 했다.

Text: Juwon Choi

The shade in the mountains resembles the fervent prayers of souls in Purgatory, reaching out to Dante in their agony. It shields us from intense sunlight and casts darkness upon the earth. In Dante's Divine Comedy, the prayers of those in Purgatory symbolize mourning and remembrance for the deceased, similar to the comfort provided by the shade. As we reflect on the representation of trees throughout history, the shade becomes a sanctuary where people seek solace and confront their inner darkness. Similarly, unresolved incidents of past state violence remain trapped in Purgatory, enduring in the shadow of their unresolved pain. jang minseung reflects on the past through his artistic practice of portraying social responsibility as an individual. He captures a profound sense of mourning through a documentary-style approach to nature, depicting sites such as Towangseong Falls in Seoraksan and Hallasan on Jeju Island. In the series of works, he climbs Mount Geumgang and Seoraksan, connected by rocky mountain ranges, under the name of Goseong in Gangwon Province. The exhibition over there is a prequel to jang minseung’s earlier works over there (2018), Arcadia (2016), and Voiceless (2014), offering insights into his motivation for climbing mountains and clues about his silent videos and photography of nature earlier in his practice.

Released in 2018, over there chronicles jang's 1,000-day journey of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snowy peaks of Hallasan and filming across Jeju Island. jang's unique approach involves choosing the worst weather conditions, demonstrating his dedication and willingness to risk his own safety in the face of nature's extremes. The dramatic scenes he captures are not merely for visual effect. He states that filming landscapes while traversing mountains is integral to his nature, much like walking, and that he regards mountains as a place of enlightenment. jang’s depictions of night waves in Jeju, the winds of Hallasan, and the mists invite the audience to reflect on and cherish the past that has faded. Within the framework envisioned by the artist, viewers engage in moments of meditation through sensory and visual experiences. The extensive photographic series from over there, a continuation of his over there series, captures these ephemeral moments and transitions into perceptual abstraction.

Among jang minseung's works that relate to the ocean—the moments 6’ 49” (2012), Address Unknown (2023), and over there somewhere everywhere (2021)—viewers are guided towards appreciation in abstract sense, by deeply immersing in nature. In the Moments 6’ 49”, recording a period of being stranded on a beach under a storm warning of Typhoon Bolaven in 2012, the only striking elements are the majestic waves, seemingly on the verge of crashing in the contrasting fine white bubbles. This scene juxtaposes the spectacular natural landscape with a sense of sublimity. Address Unknown is a new series focusing on close-up shots of glass beads embedded in sand on the beach, emphasizing the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surface wear of the material. Both Address Unknown and over there somewhere everywhere, are series that reflect the artist’s contemplation from minor human affairs to the vast spectrum of nature and time. By capturing segments of nature's chronology in his artistic practice, jang metaphorically addresses the constructed history of society. His approach navigates between political and personal experience, ultimately engaging ‘action without acting’.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n Korean, '상산 Sangsan', refers to "mountain over a mountain," evoking a utopian vision akin to a mountain that surpasses even the highest peaks in its sanctity and mystical allure. The exhibition, stemming from jang minseung's research and artistic practice encapsulating nature, begins with the divided states of Geumgangsan and Seoraksan, separated by the political and geographical iss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division has interrupted the continuous story that once stretched from Baekdu Mountain to Hallasan, leaving only Hallasan in South Korea. He investigated mountain-related literature and plant stories in natural science from both before and after the Korean division. Part of the narrative includes personal stories about mountaineers who experienced the division, as well as related books, which are displayed as part of an archive. During his research, jang minseung accidentally discovered a plant called Sangsan, which grows near Hallasan and in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Sangsan has always been a plant that protects the mountains. In fact, Sangsan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decaying bodies of the deceased from pests during long funeral periods with its distinctive strong fragrance, maintaining the dignity of the deceased on their final journey. He investigated literature related to mountains and botanical studies in natural science from both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ome of the stories, including personal narratives of mountaineers who experienced the division of Korea, along with related books, are exhibited as part of an archive. During the process, jang minseung unexpectedly discovered a plant called ‘Sangsan’ (Orixa japonica), which grows in Hallasan and the surrounding southern regions. Sangsan has traditionally served as a guardian of the mountains.

[1] Its distinctive, strong fragrance is crucial for protecting decaying bodies from pests during prolonged funeral periods, thereby preserving the dignity of the deceased throughout their final journey. While preparing this project, the artist was deeply moved by the profound connection between the majesty of nature, the death of mountaineers, and the culture that continually honors the deceased. This insight naturally l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of "mountain over a mountain" and the Sangsan. The exhibition presents a multifaceted narrative woven through archival practices, serving as a prequel to jang minseung's project of remembrance and extending infinitely into the depths of his reflections on the shadows of the mountains.

over there is presented across four locations—Sokcho, Seoul, Jeju, and Gyeonggi—each imbued with historical and personal significance. It begins at Factory2 in Seoul, where Jang Min-seung’s earlier work, Sanglim (2014), was first shown at Gallery Factory. Now renovated into Factory2, the venue will showcase Jang Min-seung's latest works. The exhibition continues in Sokcho, at Chilsung Boatyard, which relocated from Wonsan of North Korea to south due to the Korean War. It then moves to Jeju, featuring Daedong Hotel and viaart, key sites for mountaineers for over 50 years and the base camp for jang minseung's over there. Finally, it concludes in Gyeonggi at Suraksan Mountain Hut, the last remaining stone lodge from the Yushin era.

This extensive project transcends ideology to tell the story of everyon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As visitors engage with the exhibition across various locations, there lies hope that these sites may become sanctuaries or safe havens for each individual. The experience is designed to be a spiritual journey, much like mountaineering, where the path and actions taken leave a lasting impression. It aspires to evoke universal empathy in today’s sense of urgency, hoping that the message of over there resonates deeply and reaches the heavens.

 

[1] The plant Sangsan (常山), meaning "always in the mountains," was introduced by Kim Byeong-wan, a curator 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Kim’s interpretation aligns with both the plant’s name and its societal significance. This project adopts that interpretation to underscore the plant’s meaning and its cultural relevance.

 

 

 

 

Artist

장민승(b.1979)은 한국 현대사와 지리적 관계에 기반한 사회문화를 추적하며 국가 폭력, 참사에 애도를 은유하는 푸티지를 제작하고 이를 열린 영화적 공간으로 구축해 왔다. 최근 아카이브에 기반한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헌정작 〈둥글고 둥글게〉(2020)를 통해 지난 한국 사회를 조망하는 시청각 프로젝트(Audio-Visual Project)를 연출했다.

Jang Minseung (b. 1979) investigates social culture through the lens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ts geographical contexts. He addresses themes of state violence and tragedy, creating video footage that serves as a metaphorical reflection, presented within open, cinematic spaces. His recent projects include the audio-visual work Round and Round (2020), which, based on historical archival materials,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Gwangju Uprising, providing a retrospective view of Korean society.

Credit

《상산 上山 over there》
장민승 jang minseung 張民承

Curated by
최주원 choi juwon

Sokcho - 칠성조선소 Chilsung Boatyard 2024. 8. 1. ~ 9. 20.
Seoul - 팩토리2 Factory2 2024. 8. 10. ~ 8. 18.
Jeju - 비아아트 viaart 2024. 9. 28. ~ 11. 3.
Gyeonggi - 수락산장 Suraksan Mountain Hut 2024. 10.

Crew
Mountaineering buddy 이윤호 lee yunho
Assistant Artist 이무언 lee mooun
Archive photography development 이우헌 lee wooheon
Sound engineer 신도용 shin doyong
Editor 곽현지 kwak hyunji
Assistant curator 성지은 seong jieun
Translation 김태영 kim taeyeong
Book Curation 이윤호 lee yunho
Graphic Design 이경수 lee kyeongsoo (workroom)
Website Design 일상의 실천 Everyday Practice

Project advisor
(사) 한국산악회 학술문헌위원회 CAC Alpine Academic & Literature Committee
공영민 KONG Youngmin
박은희 Eunhee Park
이범 Berm Lee
홍효숙 hong hyosook

Acknowledgments
Supported b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ts Council Korea
Hosted by 장민승 jang minseung
Co-Organized by
칠성조선소 Chilsung Boatyard
비아아트 (대동호텔 아트센터) viaart (Daedong hotel art center)
(사) 한국산악회 Corean Alpine Club
The exhibition venue is sponsored by Factory2.
Cooperated by 아이 토크 어바웃 컨템포러리 I TALK ABOUT CONTEMPORARY

Follow us on Instagram: @overthere_somewhere_everywhere